블로그에 글을 쓰다 보니 맞춤법에 신경이 쓰이곤 합니다. 우리나라 맞춤법이 애매하고 혼동되는 것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저는 '왠지'와 웬지'가 가장 혼동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왠지'와 '웬지'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왠지, 웬지 차이
글을 블로그에 쭉쭉 써내려 가다 보면 특히나 왠지와 웬지가 틀리곤 합니다. 처음엔 교정을 해주었지만 글을 쓸 때마다 이 부분에서 틀리니 신경이 쓰이게 되더군요.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의외로 간단합니다. 우선 알아두셔야 할 것은 '왠지'라는 표현은 있어도 '웬지'라는 표현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왠지 모르게.. 식의 뒤에 '지'가 붙을 때는 왠지로 써야 합니다. 웬지로 쓰면 안 됩니다. 웬지라는 표현 자체가 우리말에는 없습니다.
왠지
왠지는 쉽게 말해 왜인지의 줄임말이라 보시면 됩니다. 이유를 알 수 없거나 애매한 경우를 일컬을 때 쓰입니다. 왠지 모르게라고 쓰이는 용어입니다. 이 말을 웬지 모르게로 쓰면 틀리는 것입니다.
왠지 모르게 (O)
웬지 모르게 (X)
웬지
위에 말했듯이 웬지라는 표현은 없습니다. 웬일, 웬떡 등과 같이 '지'자가 안 들어가는 말에 쓰입니다.
왜인지를 빼고는 다 '웬'을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웬'은' 어찌된 일인지 라고 보시면 됩니다.
웬일이냐? (O)
왠일이냐? (X)
이해가 가시나요? 이해가 잘 안 가면 말을 좀 바꿔보면 좀 더 선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웬 일이냐를 바꿔 보면 어찌 된 일이냐가 자연스럽습니다. 그래서 왠일이 아니고 웬일입니다.
왠지 된장찌개가 먹고 싶다. : 이유를 알 수 없지만 된장찌개가 먹고 싶다.
웬 말이냐? : 어찌 된 말이냐?
정리
풀어쓰니 좀 더 쉽지요? 왜인지의 뜻을 가지면 왠지로 표기하고 그 외의 말들은 다 웬으로 쓴다고 생각하시면 간편할 겁니다. 왠지처럼 '지'자가 들어가면 '왠'을 쓰고 '지'자가 안 들어가면 다 '웬'을 쓴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래의 정리를 보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웬지라는 표현은 없습니다. '왠지' 빼곤 다 '웬'을 사용합니다. 이것만 기억하셔도 혼동되는 일은 없을 겁니다.
이상으로 왠지와 웬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쉬운 방법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은 16.6%로 세계 평균의 2배에 가깝습니다.(세계 평균 9.6%) 이렇듯 노령화 시대로 진입하여 노후대비로 중요한 수단인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국민
thank.happydal.net
대전시 1차 단계적 일상 회복 지침 내용
이제 위드 코로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전 국민의 70%가 접종을 완료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도 단계적 일상 회복 내용을 올리고 있습니다. 과연 단계적 일상 회복이 성공적으로
thank.happydal.net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 종류 금리 안내 (1) | 2022.12.16 |
---|---|
우체국 준등기 조회 방법 가격 알려드립니다. (0) | 2021.11.08 |
82쿡 82cook 자유게시판 재미있네요 (0) | 2021.10.19 |
중소기업복지플랫품. 대기업 수준 직장인과 소상공인을 위한 혜택 (2) | 2021.10.05 |
2021 단풍 절정시기 총정리 (0) | 2021.10.05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