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에서 채찍을 휘두른 예수

성경에 보면 예수님이 성전에 들어가셨을 때 장사하는 사람들을 향해 분노하시며 채찍을 휘두른 장면이 나온다.

왜 채찍을 휘두르셨을까?

 

성전은 제사하는 곳이다.

제사를 드리려면 제물이 있어야 한다.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은 제물로 소나 양, 염소, 가난한 사람들은 비둘기를 바쳤다고 한다.

그런데 성전은 예루살렘에 있었다. 그러니 다른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제사를 드리러 예루살렘까지 가야 했다.

그리고 집에서부터 제물로 쓸 가축을 끌고 가야 했다.

지금처럼 자동차가 있던 시대가 아니니 얼마나 힘들고 불편했을까?

 

그래서 등장한 것이 장사꾼들이다.

이들은 일반 상인들이 아니었던 거 같다. 제사에 쓸 제품을 주로 팔았다.

그래서 순례객들이 예루살렘에 도착하여 성전에 들어갈 때 제물을 팔았다.

 

상상하기에 아마 처음엔 성전 밖에서 팔았을 것이다. 성스러운 장소에서 매매라니.

그러나 먼 지방에서 온 사람들은 성전 안에서 제물로 쓸 짐승을 사는 것이 더 편했을 것이다.

그래서 성전 안으로 장사꾼들이 진출했을 거 같다.

성전 안은 정말 몫이 좋은 곳이 되었을 것이다. 성전에 가서 제물을 사면 얼마나 편한가.

그러니 성전 안은 아마 높은 자릿세까지 주며 장사 자리를 사고팔기도 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당시의 종교 지도자들이 당연히 사례를 챙겼을 것이다.

 

 

 

그들을 보시고 예수님은 채찍을 휘두르셨다.

내 아버지의 집은 기도하는 곳인데 너희가 강도 소굴로 만들었다고 화를 내시면서.

 

그럼 생각해 보자.

제물을 파는 사람들이 성전 안에만 있었겠는가?

성전 안은 높은 자릿세를 내야 했을 것이고 성전 밖에서도 제물을 파는 상인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은 왜 성전 안에서만 채찍을 휘두르셨는가?

그리고 성전 밖에는 이러저러한 장사꾼들이 많았을 텐데 왜 유독 성전 안에서만 그러셨는가?

성전 외에 어디에서도 상인들에게 화를 내거나 채찍을 휘두르신 적이 없다.

과연 이유는 무엇일까?

 

내 짧은 생각은 이렇다.

장사를 하되 거룩한 성전 안에서는 하지 말라는 것이다.

장사는 다른 곳에서 해도 된다. 왜 굳이 거룩한 성전 안에서 하느냐 말이다.

장사를 안 하면 경제가 안 돌아가니 장사는 필요하다.

그러나 성전 안에서는 하지 말라. 성전은 거룩한 곳이지 장사하는 곳이 아니다.

돈이 오가면 성전을 그 거룩함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성전 안에서 그렇게 화를 내신 것이라 나름 생각해 본다.

 

 

 

현대는 어떤가?

지금은 성전이라는 특별한 구역이나 장소가 없다.

어디든 성전이 될 수 있다. 어디에든 하나님은 계시기 때문이다. 

교회라는 공동체가 모이는 사회가 바로 성전인 것이다.

목사님들은 그렇게 설교한다.

 

그렇다면 성전 안에서 즉, 교회 안에서는 매매를 하면 안 된다.

그렇게 한다면 예수님이 채찍을 휘두르실 것이다.

교회 공동체 안에서 매매를 하지 말라는 말은 무엇일까?

그 말은 돈에 관심 두지 말라는 이야기다.

 

돈에 관심을 둔다는 말은 돈을 번다는 이야기다.

돈을 번다는 것은 곧 원래 있던 돈을 더 불린다는 것이다.

원래 있던 것에서 더 불린다는 것은 잉여를 취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잉여가 생기면 문제가 생긴다.

의심이 일어나고 다툼이 일어난다.

 

정상적인 것이 아니라 잉여, 즉 덤이 생겼다.

그럼 이걸 누가 가져야 하나?

덤으로 생긴 것이니 어떤 경우는 내 거다 네 거다 다툼이 생겨날 소지가 다분하게 있다.

실제로 교회 안에서도 돈 때문에 다툼이 있지 않은가?

 

더 큰 문제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봉사하던 제사장들이 장사꾼들에게 사례를 챙긴 것처럼

지금의 목사들 중에도 돈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 자신은 모를 것이다. 자기가 돈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아마 그 말을 들으면 펄쩍 뛸 것이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당시 예루살렘의 제사장들은 자신들이 돈에 욕심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을까?

전혀 그렇지 않았을 것이다.

장사꾼들이 성전 안에서 이익을 보니 그 일부를 받아서 성전을 꾸미는 데 사용하고

자신도 그 대가를(정당한 대가)를 받는 것뿐이라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잘못이었다. 제사장들은 그런 식으로라도 돈에 관심을 두면 안 되는 사람들이다.

 

종교인들은 자발적 가난을 추구해야 한다.

자발적 가난이 아닐 때 문제가 생기고 종교의 타락이 시작된다.

 

적극적으로 돈을 좇아 다니지 않으니 자기는 금전 욕심이 없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아니다.

적극적으로 돈을 좇지 않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그렇게 하는 사람은 굳이 제사장이 아니라도 일반인 중에도 많다.

 

오는 돈도 물리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 돈이 부정한 돈이 아니라도 물리쳐야 한다.

정상적인 것이라도 잉여를 취할 때 욕심이 점점 자라게 된다.

잉여를 취하면 돈 맛을 알게 된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좀 큰 교회의 상당수가 그런 형편이 아닐까?

시골의 목사님들은 한 달 생활비를 걱정해야 하지만

중소 도시의 웬만한 규모의 교회 목사님들은 대형차를 모는 분들이 많다.

중형차 타면 더 은혜스러울 거 같은데...

 

그리고 교인들에게 받는 대접도 많다.

식사 대접하는 교인, 양복 대접하는 교인, 여행 갈 때 여비 대접하는 교인 등등.

 

그래서 병원이나 무슨 교육센터 같은 곳에서 목회자 할인을 해주는 것을 보면 좀 아니다 싶다.

이미 목회자분들은 어디 가나 많은 혜택을 보고 있다.

그러니 할인 혜택은 목회자가 아니라 진짜 가난한 사람들에게 해주어야 한다.

사실 시골이나 도시의 조그만 교회 목사님들은 도와주는 게 맞으나 

100명에서 300명 모이는 교회만 해도 그곳 목사님들은 형편이 어렵지 않다.

정기 사례 외에도 이렇게 저렇게 많은 대접을 받기 때문이다.

 

이런 게 잉여다.

이런 대접을 받고 나이도 들게 되면 자신은 이런 대접을 받아도 되는 사람, 당연한 사람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것이 교만이다.

 

적극적 가난, 자발적 가난이 필요하다.

특히 종교 지도자들에게 더욱 필요하다.

70년대 아니 80년대까지만 해도 목회자 하면 떠오르는 인상은 가난이었고 희생이었다.

그때는 많은 분들이 그렇게 살았던 것 같다. 지금도 많이 있다. 겉으로 나타나지 않을 뿐.

그러나 그렇지 않은 분들도 많아졌다.

자신은 목회자이니 하나님을 제외하곤 목회자가 최고라는 귀족 의식에 젖어 있는 사람들도 많다.

 

이 시대에 예수님이 오신다면

분명 교회에 가셔서 채찍을 휘두르실 것 같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