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이 부른 화, 바흠 이야기
러시아의 대 문호 톨스토이는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리나 등의 대작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톨스토이는 장편뿐 아니라 단편도 많이 남겼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사람은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라는 소설입니다. 이 소설을 통해 욕심이 부른 화를 봅니다.
가난한 농부인 주인공 바흠은 어느 날 땅 주인이 헐값에 땅을 판다는 이야기를 듣고 땅주인을 찾아갑니다. 그리고 계약서에 서명하는데 계약의 내용은 해질 때까지 돌아오라는 것이었습니다. 돌아올 때까지 밝고 온 땅을 주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바흠은 그저 최대한 멀리 땅을 밝고 해질 때까지 제시간에 돌아오기만 하면 되는 것이었습니다.
바흠은 신이 나서 열심히 달렸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멀리 가서 돌아오기 위해 밥도 안 먹고 뛰었습니다. 이제 해질 때를 생가하면 절반을 달린 것 같아 돌아가야 했습니다. 그러나 앞에 보이는 땅이 너무 비옥해 보여 조금 더 달리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바흠은 조금 더 조금 더 달리다가 너무 시간을 지체했습니다. 해진 후에 돌아가면 그동안 밟은 땅도 다 소용없게 되는터라 바흠은 아쉽지만 발걸음을 돌려 다시 돌아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출발점에서 너무 멀어져 다시 돌아가기에는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할 수없이 바흠은 다시 힘을 다해 출발점을 향해 뛰었습니다. 이미 시간은 많이 지나서 제시간에 들어가기 어려워 보였습니다.
바흠은 땅을 차지하기 위해 죽어라 뛰었고 간신히 출발점에 다시 돌아올 수 있었지만 그만 정신을 잃고 쓰러졌습니다. 바흠은 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그를 불쌍히 여긴 주인은 그를 묻어주었습니다. 결국 바흠에게 필요한 땅은 그가 묻힐 수 있는 한 평에 불과했습니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으나 정작 필요한 건 조금입니다. 그 조금에 만족하지 못해 많은 불행이 생깁니다. 야망이 없으면 안 되겠으나 과욕을 부리면 안 됩니다. 그 중간을 취한다는 게 쉽지는 않으나 항상 자신을 돌아봄으로 과욕을 피해야 하겠습니다. 욕심이 부른 화, 바흠 이야기를 통해 과욕의 경계를 배우게 됩니다.
읽어 보지는 않았으나 매우 흥미롭고 공감가는 책이네요. 과욕과 집착에서 벗어나 중도의 길을 취할 수 있도록 마음을 다스려야겠다는 생각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답글